본문 바로가기

독서/개발자

블록체인 무엇인가

어떤 새로운 것에 대한 글을 쓸 때 가장 효과적인 전달 방법이 무엇인지 저자는 항상 고민할 것이다.

글을 읽는 독자 또한 새로운 기술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책을 읽을 때 같은 맥락의 고민을 하게 된다.

이번에 읽은 책은 블록체인이라는 요즘 핫한 기술에 대해서 기존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뜨개질이나 우편함 등의 비유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자칫 이런 시도는 잘못하면 핵심을 놓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 책은 그 부분에 대하여 경계하면서 균형을 잃지 않으면서 잘 설명해 놓은 것 같다.

 

이 전에 블록체인 관련 책을 읽었는데 그 책을 읽을 때는 블록체인에 대한 개략적인 것은 대충 알겠는데 핵심을 알기가 어려웠다면 이 책은 꼭 필요한 핵심을 25가지의 주제를 통해 잘 정리해 놓았다고 볼 수 있다.

 

내가 이해한 블록체인이란 "기존의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했던 중계 서비스를 탈피하여 새롭고 합리적인 중계 서비를 하기 위한 분산 P2P 시스템이며, 시스템 내에서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쉬 함수와 보안을 위해 비대칭 암호화 기법을 활용한다." 는 것이다.

 

이런 내용을 위해 기술적인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자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번역 또한 그렇게 어색하지 않게 잘 된 것 같고 특히나 주석 내용은 블록체인에 대한 저자의 설명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에 대해 이해가 잘 되도록 해주어 좋았던 것 같다.

 

탈중계화란 말을 들으면서 항상 가지고 있던 비합리한 부분에 대한 것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지금 우리 나라의 곳곳에 자리잡은 예를 들면 농업, 어업, 수산업 등의 실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복잡하게 얽힌 중간 상인들. 그리고 소프트웨어 인력 파견 업체들의 잘못된 모습 등등 이런 문제들이 바로 잡혀야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다만, 이 책을 읽으면서 블록 체인에 열광하는 이유가 탈중계화 때문이라고 했는데 실제 그 속에서 보상과 처벌에 대한 내용에서는 크게 공감이 가지는 않았다. 실제로 얼마만큼의 보상이 생기는 것인지 감이 안왔고 그로 인해 이렇게 사회적 이슈까지 되어야 하는 것인가? 얼마전까지 비트코인이나 다른 암호화 화폐의 투기적인 이슈 때문에 생긴 거품은 아닌 것인지 의심도 생겼다.

 

그리고, 개발자로서 실제 시스템이 어떻게 운영되는지와 어떻게 개발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도 궁금해졌다.

'독서 >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In Action(제 3판) - 글쎄  (0) 2023.11.06
이토록 쉬운 블록체인&암호화폐  (0) 2023.11.06
쉽게 따라하는 자바 웹 개발  (0) 2013.09.29